지방세 37

[지방세] 레저세에 대해 알아보기

레저세에 대해 알아보기 레저세란 경마, 경륜, 경정 및 전통소싸움의 승마투표권과 승자투표권을 판매할 때 투표권 발매가액을 기준으로 납부되는 세금입니다. 과세대상 경마, 경륜, 경정, 전통소싸움경기 등의 투표권이 과세 대상입니다. 사업장 분포는 다음과 같습니다: 경마: 과천, 부산경남, 제주, 장외 30곳 경륜: 부산, 창원, 광명, 장외 20곳 경정: 하남, 장외 17곳 소싸움경기: 청도 납세의무자 과세 대상 사업을 영위하는 자가 납세의무자입니다. 다음은 각 사업별 납세의무자 목록입니다: 한국마사회(경마), 국민체육진흥공단ㆍ부산지방공단ㆍ창원경륜공단(경륜), 국민체육진흥공단(경정) ,청도공영사업공사(소싸움) 납부 및 납기 납부 방법: 본장(사업장 소재지)에 신고납부 장외발매소(장외 판매지)는 본장과 장외발..

[지방세] 자동차세 소개 - 과세 대상, 납세 의무자, 과표 및 세율

자동차세 소개 - 과세 대상, 납세 의무자, 과표 및 세율 자동차세는 자동차의 소유와 주행에 대하여 과세하는 세금입니다. 이 세금은 자동차의 소유와 도로 손상, 교통 혼잡 유발, 환경 오염 등에 따른 사회적 비용을 고려하여 부과되는 후불제적인 세금입니다. 자동차 소유에 대한 자동차세 자동차관리법에 따른 차량과 건설기계관리법에 따른 건설기계 중 자동차와 유사한 것(덤프트럭, 콘크리트믹서트럭)이 과세 대상입니다. 납세 의무자는 자동차 등록원부 상의 소유자입니다. 소유자 사망 시에는 민법상 상속지분이 가장 높은 자 또는 연장자 순으로 납세 의무가 부여됩니다. 과표 및 세율 승용자동차 - 영업용: - 1,600cc 이하: cc당 18원 - 2,500cc 이하: cc당 19원 - 2,500cc 초과: cc당 24..

[지방세] 재산세 납기와 납부 방법, 세금 종류 알아보기

[지방세] 재산세 납기와 납부 방법, 세금 종류 알아보기 이 글에서는 지방세 중 하나인 재산세에 대한 납기와 납부 방법에 대해 알아보고, 재산세와 함께 부과되는 세금에 대해서도 알아보겠습니다. 재산세 납기 주택 1/2은 매년 7월 16일부터 7월 31일까지 나머지 1/2은 매년 9월 16일부터 9월 30일까지 ※ 연세액 20만원 이하는 납기를 7월 16일부터 7월 31일까지로 하여 한꺼번에 부과·징수할 수 있습니다. 건축물 - 매년 7월 16일부터 7월 31일까지 토지 - 매년 9월 16일부터 9월 30일까지 선박 - 매년 7월 16일부터 7월 31일까지 항공기 - 매년 7월 16일부터 7월 31일까지 재산세 물납·분납·납부유예 대상 및 납부방법 물납 - 대상: 재산세 납부세액이 1천만원을 초과하는 납세..

[지방세] 재산세에 대한 이해와 과세 대상

[지방세] 재산세에 대한 이해와 과세 대상재산세는 토지, 건축물, 주택, 선박 및 항공기의 소유에 대하여 부과되는 세금입니다. 토지, 건축물, 주택 등의 재산에 과세되는 재산세와 도시계획세가 통합되어 부과됩니다(2010). 과세 대상가. 과세 대상주택을 포함한 공동주택, 단독주택 등 (주택)나대지, 전ㆍ답ㆍ과수원 등 농지, 임야, 건축물 부속토지 등 (토지)주택을 제외한 상가 등 일반 건축물 (건축물)항공기, 선박 (기타)나. 납세의무자과세기준일 현재(매년 6월 1일) 당해 재산의 소유자 - 공유재산인 경우: 지분권자소유가 불분명한 경우: 그 사용자소유권 변동 등 사실상 소유자를 알 수 없을 때: 공부상 소유자상속등기 및 소유자 미신고 상속재산: 주된 상속자(상속지분이 높은 자)국가 등으로부터 연부취득재..

[지방세] 주민세에 대한 이해와 납부 기준

주민세에 대한 이해와 납부 기준 이 글은 주민세에 대해 설명하고 납부 기준에 대해 알려줍니다. 주민세의 종류와 각각의 세율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며, 납부 의무자와 납부 기한에 대해서도 다룹니다. 주민세 개요 주민세는 주민세 개인분, 사업소분, 종업원분으로 구분됩니다. 2021년에는 주민세로 세목을 간소화하고, 주민세의 납기를 8월로 통일했습니다. 납세의무자 가. 개인분 매년 7월 1일(과세기준일)을 기준으로 자치구에 주소를 둔 개인입니다. 나. 사업소분 ① 7월 1일 현재 사업소를 둔 개인(직전년도 부가가치세 과세표준액이 8,000만원 이상인 사업자) ② 사업소를 둔 법인(법인세의 과세대상 법인격 없는 사단ㆍ재단 및 단체 포함) ③ 사업소 연면적이 330제곱미터를 초과한 사업소를 둔 사업주 다. 종업원분..

[지방세] 취득세: 부동산과 차량 등의 소유권 이전에 대한 과세 간략 안내

취득세: 부동산과 차량 등의 소유권 이전에 대한 과세 간략 안내 취득세는 부동산, 차량 등의 소유권 이전 등 취득 행위에 대해 부과되는 세금입니다. 이 글에서는 취득세의 정의, 유형, 과세대상, 납세의무자, 과세표준, 세율 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취득의 정의와 유형 취득이란 매매, 교환, 상속, 증여, 기부, 법인에 대한 현물출자, 건축, 공유수면의 매립, 간척 등과 같은 행위를 말합니다. 원시적인 취득, 승계취득, 유ㆍ무상의 모든 취득을 포함합니다. 소유권 이전에 대한 과세객체 - 부동산(토지ㆍ건축물) - 차량 - 기계장비(건설기계 등) - 입목 - 항공기 - 선박 - 광업권 - 어업권 - 골프ㆍ콘도미니엄ㆍ종합체육시설이용ㆍ승마회원권 등 간주취득 - 토지의 지목변경, 선박ㆍ차량ㆍ기계장비 종류변경 등 ..

[지방세] 지방세란: 국세와 지방세의 개념과 근거

지방세란: 국세와 지방세의 개념과 근거 지방세는 국가의 재정수요에 대응하는 국세와 지역적 특성을 고려하여 충당되는 세금입니다. 국세는 전국적인 공평한 부담을 위해 소득이나 소비에 대한 세금으로 대부분 구성되어 있고, 지방세는 지역사회에 기반을 둔 토지, 건물 등의 세금으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러한 세금은 헌법과 조세법률주의에 근거하여 모든 국민이 납세 의무를 진다는 규정으로 정해지고 있습니다. 지방세 용어해설 지방자치단체 특별시, 광역시, 도, 시, 군, 구(자치구)를 말합니다. 지방세 특별시세, 광역시세, 도세, 시세, 군세, 자치구세를 의미합니다. 세무공무원 지방자치단체의 장(시장, 구청장)과 그 위임을 받은 공무원을 말합니다. 납세의무의 성립, 확정, 소멸 납세의무는 성립, 확정, 소멸의 과정..